일본어를 갑자기 공부하는 이유
문득, 일본어를 제대로 배운적이 없이 그냥 대충 흘려듣고 있다는 생각이 들었다. 덕분에 제대로 읽지도 듣지도 쓰지도 못하는 그런 엉성한 상태가 계속되고 있고, 내년이나 내후년쯤 (지진의 위험이 있겠지만) 일본에 가서 한두달? 살아볼 계획을 갖고 프로젝트를 시작했다.
1차 목표 JPLT N1급, 혹은 그에 준하는 JPT 점수
시험의 한국인답게, 목표를 단순하게 잡고 시작하기로 했다. 단기적인 프로젝트가 아니라 실제 가서 회화를 써먹고 읽고 쓰고 향후에 일본어 블로그도 운영해보고 싶은 마음이 나이 40에 가까운 이상황에 들었기 때문에 꾸준히 공부해야한다.
아예 처음부터 배운다는 생각으로 예전 JLPT의 기준을 보고 생각하면 좀 더 명확하게 목표를 잡을 수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들었다.
- 1급: 고도의 문법ㆍ한자(2,000자 정도)ㆍ어휘(10,000어 정도)를 습득하여 사회생활이 가능한 정도와 대학에서 학습, 연구가 가능한 종합된 일본어 능력 (일본어를 900시간 정도 학습한 수준)
- 2급: 약간 고도의 문법ㆍ한자(1,000자 정도)ㆍ어휘(6,000어 정도)를 습득하여 일부에 한정되지 않고 전체에 널리 걸치는 회화가 가능하면서 읽고 쓸 능력 (일본어를 600시간 정도 학습하고 중급 일본어 과정을 마친 수준) - 개편 이후의 N2와 거의 동일하다.
- 3급: 기본이 되는 문법ㆍ한자(300자 정도)ㆍ어휘(1,500어 정도)를 습득하여 특별하지 않고 날마다 접할 수 있는 회화가 가능하면서 간단한 문장을 읽고 쓸 수 있는 능력 (일본어를 300시간 정도 학습하고 초급 일본어 과정을 마친 수준) - 개편 이후의 N4와 거의 동일하다.
- 4급: 초보다운 문법ㆍ한자(100자 정도)ㆍ어휘(800어 정도)를 습득하여 특별하지 않고 날마다 접할 수 있는 회화가 가능하면서 간단한 문장을 읽고 쓸 수 있는 아주 기초적인 능력 (일본어를 100시간 정도 학습하고 완전 초급 수준의 일본어 과정을 마친 수준) - 개편 이후의 N5와 거의 동일하다
3급 정도의 능력을 초급이라고 가정할때, 60일을 기준으로 계획을 세웠다. 그리고 청해의 어려움이 예상되기 때문에 러닝할때, 180bpm정도의 일본음악을 듣고, 그 가사를 음미해보기로 하며, NHK에서 제공하는 easynews를 같이 공부할 예정이다.
그리고 올해 목표는 최종 N2를 합격하는 것이고, 내년 7월 시험에 N1급을 목표로 공부할 예정이다.
1) N3급 합격까지 매일 단어 70개, 한자 15개 소화 및 정리
교재리스트
기존에 가지고 있던 일본어 책들과 새로 구입한 책들, 그리고 청해 파일들을 위주로 공부한다.
- 신일본어능력시험 N4/N5, PAGODA
- 이로도리 입문~초급, 일본국제교류기금(무료)
0 댓글